Surprise Me!

[뉴스큐브] 신규확진 28명중 해외유입 23명…러 선박 n차 감염 비상

2020-07-28 1 Dailymotion

[뉴스큐브] 신규확진 28명중 해외유입 23명…러 선박 n차 감염 비상<br /><br /><br />해외유입 사례가 연일 늘어나면서 해외유입이 지역감염으로 번질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산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선박의 집단감염이 내국인 수리업체 직원을 거쳐 가족에게까지 퍼져 n차 감염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기도 김포의 임시생활시설에서 격리 중이던 베트남인 3명이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해 해외 입국자 방역망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20명대를 유지했습니다. 지역발생이 5명으로 이틀째 한 자릿수에 그쳤는데요. 반면 해외유입은 33일째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현재 추이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문제는 그간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봤던 해외유입에서 지역감염으로 확산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겁니다. 부산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선박의 3차 감염이 이틀 연속 발생했어요?<br /><br /> 이런 상황에서 외국인 자가격리 무단이탈 사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 김포의 임시생활시설에서 격리 중이던 베트남인 3명이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, 만에 하나 이들 중 한명이라도 감염됐다면 지역사회 전파로 이어질 수 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자가격리 무단이탈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. 무단이탈자 720여명 중 외국인이 120명을 넘었는데요. 해외유입 급증에 이탈자까지 발생하자 외국인에 대한 관리대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데요?<br /><br /> 해외입국자가 늘면서 임시생활시설 확대가 필요한 상황인데요. 주민 반대로 신규 지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무단이탈 사례가 확인되면서 주민들의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인데, 시설 확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?<br /><br /> 지역발생 확진자 현황도 짚어보겠습니다. 이틀째 한 자릿수를 기록했지만, 산발적 감염은 지속되고 있는데요. 특히 서울시청에서 처음으로 확진자가 발생한 상황입니다. 상근 직원이 아니라 23일까지 출입했다고 하는데, 그래도 잠복기였던 만큼 추가 감염 우려도 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광주 지역에서 이틀째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습니다. 2차 재유행 이후 이틀 연속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은 건 처음인데요. 확산세가 꺾였다고 봐도 됩니까?<br /><br /> 정부가 휴가철에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유흥주점이나 파티 게스트하우스처럼 집단감염 위험이 큰 일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수칙을 강화하기로 했는데요. 이 같은 대책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백신개발 소식도 짚어보겠습니다.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와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가 백신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갔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.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갔다는건 어떤 의미라고 보면 됩니까?<br /><br /> 공급 시기도 중요하지만, 어느 정도의 가격에 공급이 이뤄질 것이냐도 관심인데요. 글로벌백신연합이 백신값을 최대 4만8천원 정도로 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 물론 최종 가격은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황이지만 어느 정도의 가격이 적정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